치매의 조짐 밝혀졌다..이 '증상' 나타난다면.. [기사] > 유용한 정보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치매의 조짐 밝혀졌다..이 '증상' 나타난다면.. [기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킴짜르트 작성일 19-02-04 17:11 댓글 0

본문

1123635101_6eXOGrYc_94a261b037ae37eb3ffa0932c73ab414c2b50d65.jpg 

혹시 우리 부모님도?…"치매 체크리스트 확인하세요" 

"치매 직전 단계서 진단·치료 시작해야 최적의 효과"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국내 치매 환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누구도 예외일 수 없게 됐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18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인구 대비 치매를 앓는 환자 비율)은 10.2%로 나타난다. 치매 전 단계로 불리는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을 보면 60세 이상 노인의 20.2%, 65세 이상의 22.6%에 달한다. 60세 이상 노인의 5명 중 1명꼴이다. 

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질병이므로 조기에 발견해 인지기능 저하를 최대한 늦추는 게 중요하므로 부모님의 뇌 건강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특히 평소보다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은 명절에는 부모님의 건강을 확인할 좋은 기회이므로 놓쳐선 안 된다. 

부모님의 치매, 경도인지장애 등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부모님이 늘 하던 요리의 음식 맛이 변했거나 복잡한 음식을 만들지 못하고, 적당한 낱말 대신 추상적인 말로 대신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꼼꼼히 살펴보는 게 좋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가 생각나지 않아 '과일' 또는 '먹는 것'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다. 

또 평소에 잘 알던 익숙한 장소를 모르거나 길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치매 초기 환자들에 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중앙치매센터가 제공하는 치매 체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자가검진도 도움이 된다. 만약 치매가 의심된다면, 부모님과 함께 각 지역의 치매안심센터에 가서 상담을 받거나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임현국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교수는 3일 "치매는 직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에서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해야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의심 증상이 보인다면 빠르게 병원에 방문해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권했다. 

아래는 중앙치매센터에서 제공하는 치매 체크리스트 항목이다. 아래 질문 중 상당 부분에서 과거에 비해 현저한 저하가 있다면 전문의사와 상담을 받는 게 좋다. 

① 며칠 전에 나누었던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② 최근에 했던 약속을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③ 최근에 주변에서 일어났던 일을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④ 가스불이나 전깃불을 켜놓고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은 어떻습니까? 

⑤ 새로 마련한 가전제품이나 기구의 사용법을 익히는 능력은 어떻습니까? 

⑥ 중요한 제삿날이나 기념일(배우자의 생일, 결혼기념일, 종교행사일 등)을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⑦ 거스름돈을 계산하거나, 돈을 정확히 세어서 지불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⑧ 이야기 도중에 머뭇거리거나 말문이 막히는 것은 어떻습니까? 

⑨ 이야기 도중에 물건의 이름을 정확히 대는 정도는 어떻습니까? 

⑩ 가까운 사람(자식, 손자, 친한 친구 등)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⑪ 가까운 사람에 관한 사항, 사는 곳이나 직업 등을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⑫ 자신의 주소나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⑬ 전화, 가스레인지, 텔레비전 등 집안에서 늘 사용하던 기구를 다루는 능력은 어떻습니까? 

⑭ 어떤 옷을 입고 나갈지, 저녁 식사에 무엇을 준비할지 등 일상적인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는 능력은 어떻습니까? 

jandi@yna.co.kr 

-End-

랜덤글 보기 추천0 이 글을 추천하셨습니다 비추천0 스크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mobile-c.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