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용어 > 유용한 정보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용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겨허헝 작성일 20-02-02 23:45 댓글 0

본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이 글로벌 전염병으로 확산되면서 감염병 관련 용어들이 쏟아지고 있다. 관련 용어를 정리했다.

의사환자  vs  확진환자

의심환자를 일컫는 의사환자는 중국 후베이성을 다녀온 후 14일 이내에 발열 및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증상이 나타난 경우를 일컫는다. 확진환자는 말 그대로 의사환자 중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환자다. 확진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후 14일 이내에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등)이 나타난 사람도 의사환자로 분류된다.

밀접접촉자  vs  일상접촉자

접촉자는 확진환자와 접촉한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데, 노출 시간, 노출 위험도에 따라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로 분류한다. 환자와 같은 공간에 얼마나 오랜 시간 체류했는지,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등을 보고 역학조사관이 판단한다. 밀접접촉자는 자가격리 후 모니터링 대상이 된다.

능동감시 대상자  vs  조사대상 유증상자

능동감시 대상자는 격리 대상은 아니지만 증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건소의 모니터링을 받는 사람이다. 중국 우한에서 입국했지만 유증상자가 아니거나 확진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이에 해당한다. 조사대상 유증상자는 중국을 방문한 후 14일 이내에 영상의학적으로 폐렴이 확인된 사람이다.

비말 감염  vs  공기 감염

비말(飛沫)은 '튀어서 흩어지는 물방울'이란 뜻이다. 환자 침이나 콧물 같은 체액이 재채기나 기침 등으로 튀어 감염되는 것을 비말 감염이라고 한다. 공기 감염은 체액이 마른 후에도 바이러스가 공기를 떠다니면서 곳곳에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다.

2차 감염

확진환자의 바이러스가 전파돼 다른 환자를 감염시키는 것을 말한다. 우한시장에서 야생동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1차 감염자라면 국내 확진자는 2차 감염자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확진자는 관광 목적으로 입국한 중국인이지만, 2~4차 감염자는 사업차 우한을 다녀온 사람들이다.

선별진료소

응급실 외부 또는 의료기관과 분리된 별도의 진료시설로 감염증 의심증상자가 출입 전에 진료를 받는 공간이다.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선별진료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병문 의료전문기자]

랜덤글 보기 추천0 이 글을 추천하셨습니다 비추천0 스크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mobile-c.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