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은 그냥 있는데 왜 동사무소는 이상한 이름일까? > 유용한 정보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우리 동은 그냥 있는데 왜 동사무소는 이상한 이름일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겨허헝 작성일 19-10-13 15:51 댓글 0

본문

동에는 법정동과 행정동이 있습니다.

 

법정동은 말 그대로 법으로 정해진 동이고 그게 바로 우리가 익숙한 동 이름입니다.

행정동은 말 그대로 행정의 효율과 편의상 나눠놓은 구역입니다.

그래서 행정이 적용되는 동사무소(정확한 요즘의 표현은 행정복지센터입니다)가 행정동의 이름을 따라가는 것이죠.

 

예전부터 쭉 그랬지만 도로명주소를 적용하고부터 좀 더 엄격하게 느껴집니다. 구지번일 때는 그냥 

'~~법정동 1000번지'  이런 주소가 보편적이었기 때문에 법정동에 더 익숙한 점이 크죠.

그래서 내가 사는 곳은 A동인데 A동사무소(행정복지센터)로 검색해도 그런 데는 없다는 결과가 많습니다.

-물론 이것도 요즘 검색은 다 연관검색어를 자동 적용하여 해당되는 동사무소를 자동결과로 내줍니다만 ㅎㅎ-

 

적용은 보통 이렇게 됩니다.

그 동의 인구가 정확하지 않고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약 5만을 초과하면 그 동 이름 그대로 동사무소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심지어 인구가 너무 많으면 ~~1동 ~~2동으로 나뉘기까지 합니다.

반면 인구가 적은 동이 따닥따닥붙어 있으면 여기서 적당히 여러 동을 묶어 동사무소가 하나 마련됩니다.

이때 이 동사무소의 이름을 별도로 정하게 됩니다. A, B, C동이 묶였을 때 AB동사무소 뭐 이런 식이죠. C는 불쌍 ㅠㅠ

그렇게 속한 법정동의 이름을 섞어 만드는 경우가 보통이고 아니면 그 지역의 전통이름을 따서 전혀 다른 D동사무소 뭐 이렇게도

나옵니다.

여기서 행정의 효율을 위해 인구 단위로 묶은 게 혼란의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A, B, C동을 묶었는데 그래도 해당 인구가 너무 적은 겁니다. 그럴 때는 옆에 인구 많은 D동의 일부 지역을 떼와서 묶습니다.

그래서 D동은 가가동사무소에 일부지역이 편입되고 일부지역은 나나동사무소로 편입되죠.

이때문에 적당히 아셔서 우리동은 D동이니까 가가동사무소로 방문하면 돼 했다가 낭패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대부분의 민원은 전국 어딜가나 되지만 전입신고, 확정일자는 온라인으로 안 할 거면 자기 주소지 동사무소 가야 되니까요)

법정동인 D동은 그냥 D동으로 있으면서요 ㅎㅎ

 

내 주소를 도로명주소로 정확히 알고, 내가 민원이 있을 때 찾아가야 하는 동사무소가 어디인지 한번에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도로명주소'라고 검색해서 나오는 사이트에 우리가 익숙한 법정동 주소를 검색어로 칩니다.

그럼 바로 그 구지번에 대한 도로명주소가 표시되고요. 오른쪽 아래를 향한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내 주소가 속하는 동사무소가 나옵니다.

 

이만 마칠게요~

랜덤글 보기 추천0 이 글을 추천하셨습니다 비추천0 스크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mobile-c.net All rights reserved.